본문 바로가기

뇌과학

입 닥치기의 힘 방금 들은 말에 호응하겠다고 자기 이야기를 꺼내려는 충동이다. 다른 방해물 중에는 조언 하려는 충동, 똑똑하다고 증명하고 싶은 충동이 있다. 상대방의 말을 듣지 않고 그다음에 뭐라 말할지 미리 생각해 두려는 충동, 방금 떠오른 이 훌륭한 아이디어를 잊어버리지 않게 당장 말해야 한다는 충동도 있다. 댄라이언스영화 올드보이의 이우진은 자신을 왜 감금했냐고 묻는 오대수에게 답했다 "오대수씨는요. 말이 너무 많아요" 오늘만 대충 수습하며 살던 오대수도 뱉은 말은 수습하지 못해 15년간 감옥에서 군만두로 연명할 수밖에 없었다. 말을 해서 실수한 사람은 있어도 말을 못 해 실수한 사람은 없다. 뇌과학적으로도 말이 많다는 건 생각이 깊지 않다는 증거다. 말은 힘이다. 할수록 약해지고 아낄수록 강해진다. 더보기
건강검진과 건강관리 검사 시설을 가지고 있는 의사들은 검사를 더 많이 하라고 지시합니다. 저도 그랬지요. 개인 병원 의사들은 정부로부터 설비 비용을 받는데 일부는 의사들 주머니로 들어갑니다. 그런 상황에서 돈을 벌려면 덜 쓰면 됩니다. 예를 들면 그런 의사들은 핀만 가지고 골절을 치료하지요 하지만 같은 의사라도 병원에 속해 있다면 더 비싼 플래트로 골절을 치료할 겁니다. 그러고는 시치미를 떼는 거죠. 그런 의사들은 모호한 윤리 같은 것은 신경 쓰지 않습니다. 의식적으로 그러는 의사들도 있지만 확신컨대 단순히 눈을 감아버리는 의사들도 있습니다. 마거릿 헤퍼넌병원은 병을 치료하는 곳이기도 하지만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기도 하다. 의사들이 치료방법을 권할 때나 약을 처방할 때 꼭 필요한 것인지 다른 대안은 없는지 의문을 갖고 질.. 더보기
뇌를 믿지말것 무게감이 비슷한 두 개의 아이디어가 있다고 해보자. 하나는 훌륭한 무언가로 자라날 잠재력이 분명하고 다른 하나는 잠재력은 덜하지만 휠씬 흥미로워 보인다. 이럴 때 망설이지 말고 호기심이 이끄는 대로 따라가라. 마음의 이끌림을 결정의 기준으로 삼아, 무엇이 당신의 관심을 끄는지에 주목하라. 이것이 언제나 작업에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 릭루빈인간의 뇌는 생각보다 영리하지 못하다. 과거의 경험에 의해서만 판단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과거의 경험에 따라 예측하고 판단하는 건 합리적이지 않다. 그럼에도 인간은 뇌가 내린 비합리적 결정을 맹신한다. 중요한 일일수록 머리보다 가슴을 따르는 게 유리하다. 인간의 내면은 어떤 결정이 미래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지 알고 있고 감정을 통해 그 정.. 더보기